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칼로리정보
- 시
- 스누피틀린그림찾기
- 자작시
- 스타워즈타이니데스스타
- 언어의 분열
- 게이머즈
- 유비의꿈
- 위닝일레븐10le
- 대한민국축구국가대표팀
- 고양이
- 축구
- 카페인
- 액션로망범피트롯
- 어제들은음악
- 자작소설
- 위닝일레븐
- 범피트롯
- 월드컵
- 잡지
- PC사랑
- 위닝일레븐10라이브웨어에볼루션
- 포켓몬고
- A매치
- 천지를베다
- 축구국가대표팀선수명단
- 피파랭킹
- 고양이영상
- 카페인함유량
- 잡지모음
- Today
- Total
목록책소감 (10)
유투보이의 블로그
8권 막판의 관우의 위용이 인상깊다. 관우와 대적해 싸우는 방덕 또한 인상깊었다. 1권의 미약한 세력으로 시작했던 유비는 8권에 이르러 촉을 얻고 한중에서는 조조의 본대를 격파해 한중왕을 칭할 정도로 세력이 커진다. 또한 관우도 그에 응하여 형주에서 북진, 연전연승하게 된다. 촉의 최전성기가 바로 이 때이다. 그에 반해 항상 흔들림 없던 조조의 위가 주춤거리게 되는 부분도 이 부분일 것이다.하지만 삼국지의 결말을 아는 나로써는 다음 9권은 좀 슬플 것 같다.
이번 7권에서는 마초의 활약이 인상깊었다. 아쉽게도 뜻을 이루지 못 했지만 장안을 점령하고 조조를 위기에 몰아넣는 마초의 모습은 소패왕 손책이 연상될 정도였다. 마초한테 좋은 책사가 있었다면 어땠을지 궁금하다.그리고 드디어 유비가 유장의 땅인 파촉에 입성한다. 8권에서 본격적으로 그 이야기가 다뤄질텐데 기대된다.
어느덧 반 이상을 읽었다. 6권에서는 개인적으로 제갈량과 주유 그리고 그 사이에 껴서 중재하는 역할을 하는 노숙의 이야기가 흥미로웠다. 삼국지를 이미 한 번 읽었으니 드는 생각이지만 출사표를 올리고 북벌에 매진하던 시기의 제갈량과 이 적벽대전 시기의 제갈량의 캐릭터성은 약간 다른 것 같다.나이 든 제갈량은 진지한 모습인데 반해, 적벽대전 시기의 제갈량은 장난기 많은 개구쟁이의 면모가 있다. 노숙, 주유 사이에서의 이야기나 오 중신들과의 토론 부분이 특히 그렇다.다음 권도 기대된다.
5권에서는 관우의 천리행부터 유비가 제갈량을 만나는 장면까지 나온다.개인적으로 삼국지의 특별한 부분이 다른 시대에서는 비슷한 일화를 찾아보기 힘든 관우의 천리행 같다. 유비를 향한 관우의 충심도 멋지고 그런 관우에게 경의를 표하며 작별하는 조조도 멋지다.그리고 원소 세력이 멸망하는 부분도 나오는데 저수와 전풍의 죽음이 안타까웠다... 원소 진영은 확실히 신하들 간의 불화가 심했다. 하지만 원소의 결정적인 패배 이유는 허유의 배신으로 인한 군량고 위치 정보의 유출인 것 같다. 연의 상이긴 하지만 이 사건이 없었더라면 관도 대전의 승패는 원소에게 유리했을 것 같다.
삼국지를 좋아하고 이 작품에 나오는 각종 패러디를 알고 좋아한다면 최고의 작품! 바꿔말해 둘 다 안 좋아하거나 둘 중 하나만 좋아한다면 글쎄다 싶은 작품일 것 같다. 삼국전투기 1권에서는 동탁의 횡포부터 조조와 여포의 치열한 전투까지가 다뤄진다. 황건적의 난은 1권에서는 안 나오는게 좀 아쉽다.. 다른 권에서라도 다뤄줬으면 좋겠다.
[책 소감]성시완의 음악이 흐르는 밤에 시완레코드와 성시완님은 90년대 근처 생인 나에게는 전설의 이름과도 같았다. 여러 약간 오래된 음악책들이나 프록락 관련 글들을 보면 자주 언급되는 이름들이기 때문이다. 특히, 신해철님의 인터뷰에서 많이 볼 수 있던 이름들이었다. 마침 신해철님의 인터뷰집도 냈던 지승호님께서 성시완님의 인터뷰집도 발간했다는 소식을 들은 후 얼마 안 있어서 본 책을 구입했다. 나는 보통 한 권의 책을 읽는데 읽은 날 수(안 읽었던 날은 제외)로만 따지면 7일에서 10일 정도 걸리는데 이 책은 2일만에 다 읽었다. 인터뷰가 물흐르듯 자연스럽게 이어져서 그런가 책도 술술 읽어졌던 것 같다. 사실 나에게 흥미를 끌만한 신선한 내용은 많이 없었는데도 쭉쭉 읽게되는 마력의 책이었다..
책을 덮고나면 이 책 디자인마저도 그의 철학이 들어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불가능보다는 시도에 무게를, 밥 딜런과 비틀즈의 DNA를 IT에 녹인 천재에게 경의를 표한다.
초한지가 익숙한 독자들에게는 그저 실크펑크의 스킨만 씌운 초한지가 아닐까 싶다... 전개상 약간의 변주가 있긴 하지만 결국 결말은 초한지, 혹은 후속작들까지 생각하면, 중국 역사에서 크게 벗어나진 않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읽으면서 자꾸 초한지가 연상이 되서 뭔가 애매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상권 말미에서 약간의 변주가 있을 때는 기대가 됬는데 하권에서는 큰 변주가 없어서 더욱 그랬다. 동양의 고전들에 익숙하지 않은 서양의 독자들에게는 참신하겠지만 동양의 독자들에게는 글쎄...